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kernel image
- rootfs
- 백도어
- kernel img
- xz-utils
- newbie
- liblzma
- cwe-506
- CVE-2024-3094
- Kernel
- kernel build
- Today
- Total
목록2024/10 (4)
ZZoMb1E
※ 자료들을 참고하여 분석을 진행하였기에 잘못된 부분이 있을지도 모릅니다. ※ 보완 혹은 수정해야 되는 부분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확인 후 조치하도록 하겠습니다. Kernel exploit 공부를 하다 보면 하나의 의문이 생길 것이다. 분명 권한 상승을 위한 바이너리를 제작하고, 로컬 환경에서 확인하는 과정을 거치는데 어떻게 Wargame, CTF 와 같은 곳에 remote로 풀 수 있을까?? 항상 python의 pwntools을 통해 입력 값들을 보내어 문제를 풀어왔기 때문에 의문이 드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바이너리를 어떻게 업로드 하고, 접속해서 풀어야 할까? 답은 생각보다 매우 간단하다.1. 바이너리를 base64로 인코딩2. 인코딩된 데이터를 쪼개어 서버로 전송3. 서버에 명령을 통해 base64..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 자료들을 참고하여 분석을 진행하였기에 잘못된 부분이 있을지도 모릅니다. ※ 보완 혹은 수정해야 되는 부분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확인 후 조치하도록 하겠습니다.※ CVE-2024-6387에 대해서도 분석을 시도 했지만 실패했네요.. 혹시 관련하여 분석해보신 분 조언 부탁드립니다...악성 백도어가 설치된 liblzma 라이브러리 파일 1. 분석대상XZ-UtilsLZMA 알고리즘을 활용한 무손실 압축 프로그램으로 Ubuntu, Debian, Windows를 포함한 운영체제에 지원을 한다. SSH-ServerSSH 서비스를 활용하는 서버 환경으로, 본 글에서는 Debian 운영체제의 SSH-Server를 다루겠다. liblzma 라이브러리XZ-Utils를 포함한 압축 해제를 지원하며 높은 효율을 보여주는 압축..